“미안해요. 늦게 와서 미안해요.”
어느덧 날씨가 제법 따뜻해지고 있습니다. 인권의학연구소를 후원해주시고 항상 응원해주시는 분들 모두 어떻게 지내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연구소는 앞으로 다양한 후원회원과 연구소의 존재 이유가 되는 국가폭력 피해생존자들의 이야기를 전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몇몇 피해생존자들은 다양한 언론 인터뷰의 경험이 있지만, 대부분의 인터뷰가 아픈 과거의 이야기를 다시 꺼내는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가능하다면 저희 연구소에서는 그분들의 오늘 일상과 힘든 과거 속에서도 따뜻한 사람의 손길이 다가왔던 그 기억을 나누려고 합니다.
이런 취지로 처음 만나 대화를 나눈 국가폭력 피해생존자는 1980년대 '송씨일가 간첩단 사건'으로 가족 모두가 고생을 하셨고, 지난 2009년 무죄를 받으신 ‘송기복’ 선생님입니다. 송기복 선생님 가족은 김근태기념치유센터가 설립을 준비할 때 무죄 보상금으로 고액을 후원해주셨습니다. 이 후원은 김근태기념치유센터가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는데 마중물이 되었습니다. 인터뷰 내내 소녀 같은 온화한 미소를 잃지 않았던 송기복 선생님의 첫 번째 인터뷰를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Q. 지난해 국민 모두가 코로나로 쉽지 않은 한 해를 보냈는데요, 혹시 선생님은 지난해 어떻게 보내셨나요?
(송기복) 많은 분들이 코로나 때문에 집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셨을 텐데, 저는 우리 딸이 뜻하지 않게 아파서 함께 동고동락을 했죠. 힘들지만 그래도 혼자서 집에 있는 것보다는 낫더라고요. 그리고 딸이 병원에 3개월 정도 입원을 했었는데, 그때는 딸 면회도 못하고 음식을 해서 전달하고 그렇게 지냈었어요.
Q. 선생님 최근에는 어떻게 지내고 계세요?
(송기복) 최근에 별로 하는 건 없고. 이제는 남은 인생을 좀, 시간적으로 따져보니까 남은 시간이 얼마 안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내가 고마워해야 할 사람들에게 마음으로 무언가 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겨서, 최근에 한 분을 생각하면서 목도리를 만들었어요. 그런데 그분도 여자분인데요. 그분은 저처럼 직접적인 피해자는 아니지만 남편 때문에 고생을 하셨어요. 그리고 연세도 저보다 더 있으시고요. 근데 감옥 밖에서 혼자서 얼마나 많이 고생을 했겠어요? 그걸 생각해보니까 괜히 내가 그분에게 미안하고 고맙기도 하고. 그건 제가 여자이고 엄마이기 때문에 느끼는 거예요. 나는 교도소 안에 있었지만, 그분은 밖에서. 교도소 밖에서 살기 위해서 얼마나 힘들었을까를 내가 느끼면서 목도리를 만들었어요.
Q. 선생님은 공감능력이 탁월하신 것 같아요. 제가 선생님 관련 기사를 찾다가 선생님께서 본인은 ‘축복받은 간첩이다’라고 말씀하시기도 하셨더라고요. (웃음) 만약에 선생님께서 선생님께 도움을 주셨던 분들 중에서 귀한 저녁 만찬에 누군가를 초대할 수 있다면, 어떤 분을 초대하고 싶으세요?
(송기복) 많죠. 돌아가신 분 중에서 한 분이 있다면 황인철 변호사님예요.
Q. 황인철 변호사님과는 어떤 인연이 있으세요?
(송기복) 우리 사건을 변호하셨던 변호사님이세요. 그것도 기적이에요. 그때 황인철 변호사를 만난 건 007 작전이에요. 나는 1980년 3월 2일 날 (제가 교사로 근무하던) 학교에서 수업하다가 잡혀간 거예요. 그리고 일주일 만에 왔는데 그 이튿날 또 잡혀가서 그 이후로부터 간첩이 된 거죠.
저는 황인철 변호사를 교도소 안에서 집시법 위반으로 들어온 이대생들한테 처음 들었어요. 그때는 교도소 안에서 5-10분인가 운동장에서 운동을 하곤 했어요. 근데 그때 저는 너무 고문을 많이 받아서 걷지를 못했어요. 그래서 저는 담벼락에 기대어 서 있었고. 그러면 (운동 시간에) 사람들이 제 앞으로 지나치면서 뛰어요. 그때 저는 죄인처럼 얼굴도 못 들고 그냥 앉아 있는 거죠. 그런데 여학생들이 제 앞을 지나가면서 하루는 “아줌마가 선생님이에요?”하고, 다음에는 “아줌마가 송기복이에요?”, 그리고 또 다음에는 “아줌마가 율리아예요?” 이러고 지나가고 지나가고 하는 거예요. 그러니까 그게 시간적으로 한 달 정도를 두고 그렇게 운동장에서 있었던 일들이에요. 저는 ‘율리아, 송기복, 선생님’하니까 대꾸도 못하고 쳐다만 보고 있었죠. 학생들이 제 앞을 지나가면서 마치 구령처럼 그러는데 내가 황인철이라는 이름을 확실하게 들었어요. 학생들이 ‘아줌마를 만나고 싶은 변호사가 있어요’하고 내 앞을 지나가고, 또 조금 있다가 ‘선생님을 만나고 싶은 변호사가 있어요’하고 지나가고, 그리고 ‘황인철, 황인철’하고 지나가는 거예요. 그러니까 저는 앉아서 ‘황인철이 누구지?’라고 생각하게 된 거예요. 그래서 제가 황인철 변호사를 만난 건 007 작전이에요.
Q. 그래서 언제, 어떻게 황인철 변호사를 만나신 거예요?
(송기복) 저는 황인철이라는 사람이 누구인지도 모르고 있었는데 학생들이 제 앞을 지나갈 때마다 ‘황인철, 황인철’ 외치면서 지나갔어요. 저는 그때 볼펜이 있어요 뭐가 있어요. 아무것도 없잖아요. 그럼 손톱으로, 밥풀로 벽에다가 그 이름을 적어두는 거예요, 혹시 잊어먹을까 봐. 그렇게 기억을 하려고 애를 쓰고 있었어요. 그리고 제가 교도소에 있을 때, 저희 남편이 매일 면회를 왔어요. 딱 하루를 빼고 매일 면회를 왔는데요. 그 하루는 저희 할머니가 돌아가신 날이었어요. 저희 가족이 모두 간첩단 사건으로 잡혀갔기 때문에 그 장례를 치를 수 있는 남자가 저희 남편밖에 없었거든요.
Q. 그럼 황인철 변호사는 선생님 남편분을 통해서 만나신 건가요?
(송기복) 전 오지 말라고 했는데도 저희 남편이 면회를 매일 왔어요. 저희 남편은 저를 조금이라도 운동을 시키려고 매일 왔다고 그래요. 여하튼 그렇게 면회를 오면 교도관이 면회 관련 기록을 하잖아요? 근데 그때 저는 이미 고문을 많이 당하고 억울하게 부르는 대로 쓰고 했던 경험이 있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면회를 온 남편에게도 한 번에 다 이야기를 못하고 매일같이 조금씩 조금씩 황인철 변호사에 대해 이야기를 했어요. 교도관이 쓰지 못하게 하려고 면회 끝나고 문을 나올 때 얼굴을 내밀고 하루는 ‘변호사가 당신 만나고 싶대’라고 말하고, 그리고 이튿날 오면 제가 또 ‘황인철이야’라고 말하고. 그런 식으로 교도관이 눈치 채지 못하도록 조금씩 남편에게 말하는 거예요. 그러니까 그걸 듣는 저희 남편은 영문도 모르고 자기 나름대로는 부인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가 보다 했다는 거예요. 그런데도 제가 매일같이 그렇게 이야기를 하니까 저희 남편이 황인철 변호사를 찾아봤는데 황인철 변호사가 있더래요.
Q. 그럼 그때 그렇게 황인철 변호사에 대해 며칠에 걸쳐서 조금씩 면회 온 남편에게 이야기를 하고, 처음에는 이해를 못했던 남편은 그걸 듣고 황인철 변호사를 찾아간 거예요?
(송기복) 네, 그래서 우리는 007 작전이라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내가 황인철 변호사를 생각하면 아주 고맙고 미안하고 그래요. 저희 남편이 어렵게 황인철 변호사를 찾아갔더니 황인철 변호사가 되려 저희 남편과 저를 찾았는데 저희 남편에게 ‘왜 이렇게 늦게 왔느냐’고 하면서 저희가 찾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거예요.
Q. 정말 영화 같은 이야기네요. 그럼 그때 이미 황인철 변호사는 송기복 선생님을 알고 계셨던 거네요?
(송기복) 네 저를 알고 있었던 거예요. 그걸 어떻게 알았냐면은 함세웅 신부님이 말을 해서 알고 있었던 거예요. 그때 함 신부님이 황인철 변호사를 만나서 제 이야기를 했다고 해요. 그때 황인철 변호사가 이대 학생들한테 그랬다고 해요. ‘너희들은 민주화운동을 해서 감옥에 갔지만, 너희 선배 가운데 아무것도 안 했는데 그냥 간첩으로 몰려서 감옥에 간 선배가 있어’ 그랬다는 거예요. 제가 그때 이대를 다니다가 나와서 홍대에서 졸업했는데 그것 때문에 황인철 변호사가 그렇게 말한 것 같아요.
Q. 그럼 선생님이 황인철 변호사를 처음 만난 건 어디서 만나신 거예요?
(송기복) 제가 서울구치소에 있다가 광주로 저희 가족 모두가 이송되었어요. 그래서 제가 광주 교도소에 있었는데 황인철 변호사가 서울에서 직접 내려온 거예요. 저도 그때 황인철 변호사를 처음 보는 거죠. 교도소에서 황인철 변호사가 저를 보고 ‘송기복 씨’ 그러는데 눈이 이렇게 동그란 양반이 (웃음) 인상이 너무 편안한 거예요. 그래서 저도 모르고 황인철 변호사를 끌어안고 울었어요. 제가 엉엉 우니까 황인철 변호사가 저를 토닥토닥해주면서 저한테 건넨 첫마디가 “선생님, 미안해요. 늦게 와서 미안해요.” 였어요.
한 편의 드라마와 같은 이야기였던 송기복 선생님과 황인철 변호사와의 만남을 직접 들어보았습니다. 아무도 자기편이 없다고 생각하셨을 그때에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 곁에 황인철 변호사라는 나무가 있었습니다. 송기복 선생님의 이 이야기를 직접 들으면서 그때 황인철 변호사의 역할이 지금 저희 연구소에게 주어진 역할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다음 편에는 송기복 선생님의 가족 이야기를 조금 들어보는 두 번째 인터뷰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진행: 박민중)
'따뜻한 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석 선생 인터뷰-①] 프랑스에서 우연히 만난 ‘김치식당’. (0) | 2021.04.26 |
---|---|
[송기복 선생 인터뷰-②] 국민의 한 사람으로 당신에게 사과할게! (0) | 2021.04.22 |
[인터뷰] 故 김승효 선생의 국가배상판결 담당 장경욱 변호사 (0) | 2021.04.22 |
[인터뷰] 이화영 인권의학연구소 소장과 신년 인터뷰 (0) | 2021.04.22 |
[인터뷰] 인권의학연구소 후원 회원과의 만남 (0) | 2021.04.22 |